• 처음으로
  • 로그인
  • 문의하기
  • eBook
  • 신간 이북
  • 콘텐츠보관함
  • FAQ
  • 도움말
  •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 독자서평
  • FAQ
  • Q&A
  • 도움말
  • 도서관
E-book이용 단말기 도우미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홈 > book > 사회
[사회] 차별의 언어
장한업 | 글담 | 2019-01-03 | 공급 : (주)북큐브네트웍스 (2019-11-12)



제작형태 : epub
대출현황 : 대출:0, 예약:0, 보유수량:3
지원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책이 열리지 않으세요? 리더 수동설치
  • 우리나라, 국민 여동생, 조선족, 다문화가정, 쌀국수…… 무심코 사용하는 일상 언어를 통해 우리 사회의 차별 의식을 살펴보다 『말이 칼이 될 때』 저자 홍성수 교수 추천 상호문학철학회 회장 주광순 교수 추천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박경태 교수 추천 ‘우리나라’ ‘조선족’ ‘다문화가정’ ‘쌀국수’ ‘국민여동생’ 등은 우리들이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쓰는 단어들이다. 국내 만연한 차별의 시선을 고치고자 노력해 온 장한업 교수는 『차별의 언어』에서 ‘왜 한국인은 ’우리‘라는 표현을 과도하게 사용할까?’ ‘왜 이탈리아 국수는 ‘스파게티’라고 부르면서 베트남 국수는 ‘쌀국수’라고 부를까?’ ‘왜 ‘다문화’와 ‘타문화’를 동의어처럼 사용할까?’라고 질문을 던짐으로써 이 단어들 속에 담겨 있는 단일민족의 허상과 그에 따른 차별 의식을 다루고 있다. 그는 ‘우리’라는 말이 그에 해당하는 집단을 울타리처럼 보호하면서도 다른 집단에 속한 사람을 배척하는 단어라고 밝히고, ‘국민000’ ‘000여왕’이라는 호칭의 과도한 사용에서는 집단주의와 국군주의의 냄새를 읽는다. 또 같은 재외동포인 조선족은 재중동포라고 부르지 않는다거나 한국인 결혼이주여성을 ‘베트남신부’ ‘캄보디아신부’ 식으로 출신국을 강조해서 부르는 차별적인 행태라고 꼬집는다. 우리 곁에 있으면서 ‘우리가 되지 못한 사람들’을 돌아보고, 어떻게 하면 이들과 더불어 더 잘 살 수 있는지를 고민한 결과가 녹아 있다. 『말이 칼이 될 때』 저자 홍성수 교수는 이 책에 대해 “차별을 넘어 상생으로, 단일민족 신화를 넘어 다문화사회로, 한국 사회가 가야 할 미래의 지향을 제시하면서, 다문화시대에 필요한 정책과제와 문화다양성 교육까지 제언한 책”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 책은 독자들이 인식 전환의 첫 걸음을 딛고, 통렬하고 비판적인 자기 성찰로 나아갈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석·박사) 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불어교육과를 졸업했다. 프랑스 루앙대학교에서 불어교육학 및 사회언어학 석사, 불어교육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1997년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외국어교육전공 교수로 임용되었고, 1999년부터는 동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9년부터 다문화사회의 교육적 대안인 상호문화교육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영미권의 다문화교육을 ‘유일한’ 또는 ‘최상’의 교육으로 여기는 학계의 선입견이 안타까웠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식을 개선하고자 『유럽의 상호문화교육』(한울아카데미) 『상호문화 이해하기』(한울아카데미) 『상호문화사회』(교육과학사) 『이제는 상호문화교육이다』(교육과학사)를 비롯한 다수의 책을 집필 및 번역했다. 2014년에는 동료 교수들과 이화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에 국내 최초로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을 만들고 이 과정의 주임 교수를 맡고 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다문화연구소 소장을 겸하고 있다. 이외에도 전국 교육연수원과 시청에서 교사, 학부모, 공무원을 대상으로 강연하는 등 상호문화적 접근을 사회 운동으로 발전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 추천사 · 05 머리말 · 08 1부. 차이를 차별로 만드는 우리 언어 우리라는 울타리 속 세계 · 20 ‘우리’라는 언어가 만든 사고의 울타리 l “한국에 오니 좋지요?” l 경계가 없는 한국인의 우리주의 모난 돌이 정 맞는 나라 · 29 한국 사회가 개인보다 우선시하는 것 l 한국에서 여러 명이 중국집에 가면 생기는 일 l 한국계 외국인에 민감한 사람들 다양성을 존중하지 않는 사회 · 38 모든 사람을 연결하는 세계화 l 서울은 세계에서 가장 큰 시골 지금, 한국은 … 아직도 국민 시대를 고수하는 유별난 나라 · 45 2부 차이의 기준, 단일함이라는 허상 우리는 언제부터 단일민족이었을까? · 50 민족을 정의하는 데 혈통과 혈연이 중요할까? l 국민교육헌장에 의해 강조된 민족의식 l 조국과 민족을 위해 몸과 마음을 바치는 사람들 우리 고유한 것들의 가치는 언제 부각됐을까? · 60 근대 이후부터 국호로 사용된 韓 l 양복 때문에 생긴 한복이라는 이름 l 20세기에 들어서야 인정받은 한글 전통이란 영원히 변하지 않는 걸까? · 69 전형적인 다문화 공간, 장례식장 l 일본의 국화로 영정 사진을 장식하는 한국인 l 지금은 흔적도 찾을 수 없는 유교 문화의 상징, 상투 21세기 한국은 이미 다문화사회 · 78 식후 한 잔에 담긴 중국, 일본, 프랑스의 문화 l 대표는 맞지만 전통은 아닌 음식, 빨간 배추김치 l 포르투갈과 일본을 거쳐 들어온 딱지 놀이, 화투 l [백설 공주]를 읽으며 자라는 한국의 아이들 새롭게 정의되어야 할 한국 사회의 정체성 · 92 한국인은 본래 다문화인 l 범죄자가 되어 버린 반쪽짜리 한국인 l 정체성이란 복수적, 가변적, 역동적인 것 지금, 한국은 … 2025년부터는 한국 군대도 다문화군대 · 103 3부 정상적인 우리가 되지 못한 사람들 한국의 역사를 움직인 이방인들 · 108 고려의 쌍기와 조선의 하멜 이야기 l 임진왜란의 숨은 조력자, 귀화한 일본인 l 한국사 최초의 혼혈 왕 역사는 다른 민족을 어떻게 차별했을까 · 118 기록되지 않은 역사, 신라에 정착한 아랍인들 l 천민을 이중으로 구속한 이름, 백정 l 그 많던 중국집은 어디로 갔을까? 한국에서 외국인 신분으로 산다는 것 · 128 직업 선택의 자유를 보장하지 않는 고용허가제 l 외국인 혐오증, 제노포비아 l 한국은 제노포비아의 나라 이방인 취급을 받는 국적만 같은 한국인 · 138 같은 피가 흘러도 2등 국민인 탈북자 l 한국인과 결혼해도 여전히 베트남신부 l 한국은 이민자가 필요한 나라 지금, 한국은 … 세계 난민 문제 기여도가 0퍼센트인 나라 · 147 4부 영원한 우리도, 영원한 이방인도 없다 자의 반 타의 반으로 흩뿌려진 재외한인 · 154 국권 피탈 이후 강제적으로 끌려간 한인 l 적성민족이라는 꼬리표를 단 채 쫓겨 다닌 고려인 l 돈에 팔려간다는 오명을 입은 하와이의 사진신부 미래를 꿈꾸며 외국인 노동자를 자처한 한국인들 · 168 과거 독일의 3D 노동자들은 한국인 l 관광 비자로 호주에 거주한 한인 불법 체류자 한국보다 더 한국적인 조선족 · 175 공항에서 한국 대표 민요가 흘러나오는 연변 l 왜 재중한인은 특별히 조선족이라고 부를까? 지금, 한국은 … 가장 오랫동안, 가장 많은 아동을 해외로 입양 보낸 나라 · 182 5부 차별을 없애고 상생의 언어로 고정관념과 편견에서 비롯되는 차별의 시선 · 188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 고정관념 l 한국인의 고정관념 ‘우리주의’는 어떻게 형성될까? l ‘우리주의’ 형성의 근본적인 요인, 중심주의 l 쌀국수와 스파게티 사이에 자리잡은 편견 l 편견을 없애기 위해 국가의 가사마저 바꾼 캐나다 존중받아야 할 인간의 다를 수 있는 권리 · 205 다르다는 차이 VS 여러 가지로 많은 다양성 l 차이의 기준이 차별을 만든다 l 우리는 차이를 어떻게 받아들일까? l 세계 인류의 공동 과제, 문화다양성 l 자신의 문화를 사랑하는 교양인이 차이를 대하는 법 다문화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상호문화적 인식 · 216 왜 문화다양성 교육이 필요할까? l 더불어 더 잘 사는 것이 목표인 상호문화 l 다양한 민족으로 구성된 유럽의 상호문화교육 지금, 한국은 … 한국에는 언제 상호문화도시가 생길까? · 227 맺음말 · 230 참고문헌 · 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