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으로
  • 로그인
  • 문의하기
  • eBook
  • 신간 이북
  • 콘텐츠보관함
  • FAQ
  • 도움말
  •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 독자서평
  • FAQ
  • Q&A
  • 도움말
  • 도서관
E-book이용 단말기 도우미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홈 > book > 역사
[역사] 넛지 삼국지
강병국 | 진한엠앤비 | 2018-05-09 | 공급 : (주)북큐브네트웍스 (2018-12-04)



제작형태 : pdf
대출현황 : 대출:0, 예약:0, 보유수량:3
지원기기 :
책이 열리지 않으세요? 리더 수동설치
  • ‘넛지 삼국지’는 넛지의 본래 뜻인 팔꿈치로 옆구리를 툭 치는 듯한 부드러운 권유로 바른 선택을 돕는다. 바쁜 현대인들이 막대한 시간을 들여 열권의 삼국지를 읽도록 결심하게 하는 것은 결코 싶지 않는 일이다. 또 이미 읽은 독자들에게 다시 삼국지를 읽도록 권유하는 것은 더욱 어려운 일인지 모른다. ‘넛지 삼국지’는 삼국지를 읽지 않았거나, 읽은 독자들의 옆구리를 쿡 찔러줌으로써 삼국지 독자가 되게 하고, 다시 명장면을 회상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물 30편(90명)과 배경 120편은 삼국지에 등장하는 인물과 당시의 배경을 한눈에 들어오도록 했다는 점에서‘초간편 삼국지’라 해도 무리가 없을 듯하다. 유비의 손자 유심은 부친 유선이 위의 등애에게 항복하는 것을 만류하다 듣지 않자 비분강개해 처와 자식의 목을 베어 할아버지인 유비의 무덤에 가지고 가서 대성통곡(大聲痛哭)하고 자결했다. 책은 수급 두 개를 그려 넣어 당시의 상황을 웅변해 준다. 관우와 황충, 허저와 마초의 용쟁호투, 관우가 조조를 놓아주거나 서서가 유비를 떠나는 모습, 유비의 삼고초려(三顧草廬), 천하를 놓고 다투는 적벽대전 등은 두고두고 회자된다.

  • 저자 : 강병국 저자 강병국은 1955년 경남 진주 출생. 호는 운천(雲川)이다. 경상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경상대 겸임교수이다. 국제신문 재직 당시 한국기자협회가 주는 한국기자상 1회, 이달의 기자상 2회, 일경언론재단이 주는 일경언론상 대상을 받았다. 저서로 [우포늪], [낙동강하구], [주남저수지], [순천만], [늪은 누가 만들었나], [한국의 늪] 등 과학도서와 [원본그림 삼국지], [전략 삼국지](이상 공저), [삼국지 컬러링북] 등의 인문도서가 있다. 최근에는 중국고전번역에 몰두해 [묵자], [홍루몽 시편], [삼국지한시산책] 등을 펴낼 예정이다.

  • 1부 인물편 한헌제, 복황후, 동승 여포, 초선, 동탁 유비, 장비, 관우 제갈량, 장포, 관흥 마초, 조운, 황충 마대, 요화, 위연 미부인, 감부인, 손부인 유선, 유심, 황호 주창, 황보, 관평 정기, 장송, 엄안 방덕, 마등, 한수 원소, 문추, 안량 화타, 관로, 길평 등애, 종회, 강유 여몽, 육손, 감택 황개, 손호, 오국태 능통, 감녕, 손권 장간, 주유, 노숙 공융, 태사자, 도겸 양수, 예형, 진궁 방통, 서서, 왕윤 곽가, 조조, 가후 허유, 조비, 견씨 허저, 장료, 서황 조홍, 조인, 왕쌍 원술, 공손찬, 유표 사마소, 마속, 왕랑 사마의, 학소, 장합 하후연, 전위, 장수 법정, 장소, 순욱 2부 배경편 도원(桃園)에서 세 호걸이 의형제(義兄弟)를 맺다 독우(督郵)를 매질하는 장익덕(張翼德) 금주(金珠: 황금과 구슬)로 여포(呂布)를 설득하는 이숙(李肅) 동탁 암살이 실패하자 칠보도(七寶刀)를 바치는 조맹덕(曹孟德) 가짜 조서(詔書)를 보내자 제진(諸鎭)이 조조에게 응하다 옥새(玉璽)를 숨기고 약속을 어기는 손견(孫堅) 반하(磐河)에서 공손찬(公孫瓚)과 싸우는 원소(袁紹) 연환계(連環計)를 쓰는 왕사도(王司徒) 가후(賈?)의 계책을 듣고 장안(長安)을 침범하는 이각(李?) 근왕병(勤王兵)을 일으키는 마등(馬騰) 북해(北海)의 공융(孔融)을 구하는 유황숙(劉皇叔) 세 번 서주(徐州)를 양보하는 도공조(陶恭祖) 서로 격렬히 싸우는 이각(李?) 곽사(郭?) 어가(御駕)를 허도(許都)로 모시는 조맹덕(曹孟德) 크게 다투는 손백부(孫伯符)와 엄백호(嚴白虎) 원문(轅門)에서 방천화극을 쏘아 맞추는 여봉선(呂奉先) 대거 칠군(七軍)을 일으키는 원공로(袁公路) 가문화(賈文和: 가후)가 적의 동향을 헤아려 승리하다 하비성(下?城)에서 조조(曹操)가 크게 싸우다 대궐(大闕)에서 조서를 받는 동국구(董國舅:동승) 술을 데우며 유비(劉備)와 영웅(英雄)을 논하는 조조(曹操) 마보군(馬步軍) 삼군(三軍)을 일으키는 원소(袁紹)와 조조(曹操) 독(毒)을 풀다가 형을 받는 길태의(吉太醫) 황숙(皇叔)이 패하여 원소(袁紹)에게 달아나다 토산(土山)에 주둔한 관공이 조조에게 삼사(三事)를 약속받다 싸움에 지고 장수를 잃은 원본초(袁本初:원소) 단기(單騎)로 1,000리를 달리며 오관을 돌파하는 미염공(美髥公) 채양(蔡陽)의 목을 베어 형제의 의심을 푸는 관우(關羽) 소패왕(小覇王)이 노하여 우길(于吉)을 참수하다 오소(烏巢)를 습격해 군량(軍糧)을 불태우는 맹덕(孟德) 창정(倉亭)에서 본초(本初)를 격파하는 조조(曹操) 기주(冀州)를 뺏기 위해 싸우는 원담(袁譚)과 원상(袁尙) 혼란을 틈타 견씨(甄氏:원외의 아내)를 차지한 조비(曹丕) 병풍(屛風)뒤에서 유비와 유표의 대화를 엿듣는 채부인(蔡夫人) 신야(新野)에서 영주(英主)를 만나는 서서(徐庶) 떠나면서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는 원직(元直) 서서 삼고초려(三顧草廬)하는 유현덕(劉玄德) 융중(隆中)에서 천하삼분(天下三分)의 계책(計策)을 정하다 공명에게 계책을 구하는 형주성(荊州城)의 공자(公子) 유기(劉琦) 조조에게 형주(荊州) 헌납을 의논하는 채부인(蔡夫人) 단기로 주군(主君)의 어린 아들을 구하는 조자룡(趙子龍) 장판교(長坂橋)에서 장익덕(張翼德)이 적에게 교란작전을 펼치다 주화파를 물리치는 노자경(魯子敬:노숙) 주유(周瑜)에게 격장지계(激將之計)를 펼치는 공명 군영회(群英會)에서 계책에 걸려드는 장간(蔣幹) 뛰어난 계책으로 화살을 얻는 공명(孔明) 조조에게 거짓 투항문서를 바치는 감택(?澤) 장강(長江)에서 잔치를 열어 시를 짓는 조조 칠성단(七星壇)을 쌓아 바람을 부르는 제갈량 화용도(華容道)의 일을 예상하는 제갈량(諸葛亮) 동오군(東吳軍)과 크게 싸우는 조인(曹仁) 노숙(魯肅)에게 지혜롭게 사양(辭讓)하는 제갈량(諸葛亮) 황한승(黃漢升)을 풀어주는 관운장(關雲長) 오국태(吳國太:손권의 어머니)가 절에서 신랑(유비)을 선보다 두 번이나 주공근(周公瑾:주유)의 감정을 자극하는 공명(孔明) 동작대(銅雀臺)에서 크게 잔치를 여는 조조(曹操) 시상구(柴桑口)에서 주유의 죽음을 조문(弔問)하는 와룡(臥龍) 마맹기(馬孟起:마초)가 군사를 일으켜 원한을 씻다 알몸으로 마초(馬超)와 싸우는 허저(許?) 도리어 양수(楊修)를 곤란하게 하는 장영년(張永年) 서신을 보내 노만(老瞞:조조)을 물리치는 손권(孫權) 낙성(?城) 공격에서 공을 다투는 황충(黃忠)과 위연(魏延) 방통(龐統)의 죽음에 통곡하는 제갈량(諸葛亮) 장임(張任)을 사로잡는 공명(孔明) 스스로 익주(益州)의 새 주인이 되었음을 선포한 유비(劉備) 단도부회(單刀赴會: 칼 한 자루로 연회에 나아감)하는 관운장 소요진(逍遙津)에서 위엄을 떨치는 장료(張遼) 잔을 던지며 조조를 희롱하는 좌자(左慈) 주역(周易)으로 앞날을 점치는 관로(管輅) 하후덕(夏侯德)으로부터 천탕산(天蕩山)을 빼앗는 노장(老將) 황충 편하게 피로한 적을 기다리는 황충(黃忠) 야곡(斜谷)으로 퇴각하는 조아만(曹阿瞞:조조) 한중왕(漢中王)에 오르는 현덕(玄德) 자신의 관을 끌고 가며 결사항전을 다짐하는 방영명(龐令名: 방덕) 뼈를 깎고 화살 독 상처를 치료받는 관운장(關雲長) 관운장(關雲長)이 패하여 맥성(麥城)으로 달아나다 옥천산(玉泉山)에 관공(關公)이 현성(顯聖:혼령이 나타남)하다 풍질(風疾)을 치료하던 신의(神醫) 화타(華?)가 죽다 조비(曹丕)가 핍박하니 아우 조식(曹植)이 시를 짓다 한중왕(漢中王) 유비가 제위에 올라 대통(大統)을 잇다 성급하게 형의 원수를 갚으려다 수난을 당한 장비(張飛) 위(魏)에 항복하여 구석(九錫, 아홉 가지 물건)을 받는 손권(孫權) 효정(?亭)의 싸움에서 선주(先主)가 원수를 잡다 팔진도(八陣圖)를 펼치는 공명(孔明) 위(魏)의 오로군(五路軍)을 평정하는 제갈량 진복(秦宓)이 천(天)을 주제로 장온(張溫)을 곤란하게 하다 남만(南蠻) 정벌을 위해 군사를 일으키는 승상(丞相) 노수(瀘水)를 건너 두 번째 번왕(番王)을 사로잡다 네 번째 계책을 쓰는 무향후(武鄕侯:공명) 올돌골의 등갑군(藤甲軍)을 불태우고 맹획을 일곱 번째 사로잡다 노수(瀘水)에 제사지내고 한장(漢將:공명)이 회군하다 다섯 장수를 베는 조자룡(趙子龍) 공명(孔明)에게 귀순(歸順)하는 강백약(姜伯約:강유) 설원(雪原)에서 강병(羌兵:강족 병사)을 격파하는 제갈량(諸葛亮) 마속(馬謖)이 충고를 듣지 않아 가정(街亭)을 잃다 공명(孔明)이 읍참마속(泣斬馬謖)하다 거짓 서신을 보내 위군(魏軍)을 격파하는 강유(姜維) 촉군(蜀軍)을 추격하던 왕쌍(王雙)이 주살되다 서촉(西蜀)을 침범하는 사마의(司馬懿) 영채를 기습, 조진(曹眞)을 격파하는 촉군(蜀軍) 제갈량(諸葛亮)이 농상(?上)에 출전, 귀신으로 분장하다 사마의가 북원(北原)과 위교(渭橋)에서 싸우다 상방곡(上方谷)에서 사마의(司馬懿)가 곤란을 겪다 큰 별이 지고, 한승상(漢丞相) 귀천(歸天)하다 무후(공명)가 미리 금낭계(錦囊計)를 내리다 꾀병으로 조상(曹爽)을 속이는 사마의(司馬懿) 조씨(曹氏) 정권이 사마씨(司馬氏)에게 돌아가다 술자리에서 밀계를 시행하는 손준(孫峻) 사마(司馬)씨가 한장(漢將:강유)의 뛰어난 계책에 곤경을 당하다 단기(單騎)로 웅병(雄兵)을 물리치는 문앙(文鴦) 충의(忠義)로써 사마소(司馬昭)를 치는 제갈탄(諸葛誕) 수춘(壽春)을 구원하려다 우전(于詮)이 절개를 지키며 죽다 계책으로 손림(孫?)을 베는 정봉(丁奉) 조모(曹?)가 수레를 몰고 가다가 남궐(南闕)에서 죽다 후주(後主)가 모함을 믿고 회군령(回軍令)을 내리다 무후(武侯)가 정군산(定軍山)에서 현성(顯聖)하다 면죽(綿竹)에서 전사(戰死)하는 제갈첨(諸葛瞻) 서로 공(功)을 다투는 종회(鍾會)와 등애(鄧艾) 거짓 투항한 강유(姜維)의 교묘한 계책도 무위로 끝나다 두예(杜預)를 천거하며 새로운 계책을 올리는 양호(羊祜) 맺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