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음으로
  • 로그인
  • 문의하기
  • eBook
  • 신간 이북
  • 콘텐츠보관함
  • FAQ
  • 도움말
  •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 독자서평
  • FAQ
  • Q&A
  • 도움말
  • 도서관
E-book이용 단말기 도우미
전자책 단말기 등록하기
홈 > book > 역사
[역사] 세상을 바로 잡으려 한다
신정일 | 루이앤휴잇 | 2015-01-27 | 공급 : (주)북큐브네트웍스 (2017-11-21)



제작형태 : epub
대출현황 : 대출:0, 예약:0, 보유수량:5
지원기기 :
듣기기능(TTS)지원(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
책이 열리지 않으세요? 리더 수동설치
  • 우리 사회의 모순과 불의, 부조리에 대해서 말하다

    날카로운 문제의식을 통해

    오늘 우리 사회의 병폐와 구폐를 파헤치고, 해답을 구하다




    “조선 건국 이래 6백 년 동안 우리는 권력에 맞서 권력을 단 한 번도 바꿔보지 못했습니다. 비록 그것이 정의라고 할지라도, 비록 그것이 진리라고 할지라도, 권력이 싫어하는 말을 했던 사람들은 혹은 그런 진리를 내세워 권력에 저항했던 사람들은 모두 죽임을 당해야 했고, 그 자손들까지 멸문지화를 당하고, 패가망신해야 했습니다. 이에 6백 년간 부귀영화를 누리고자 했던 사람들은 대부분 권력에 줄을 서서 손바닥을 비비고 머리를 조아려야 했습니다. 그저 밥이나 먹고살고 싶으면 세상에 어떤 부정이 저질러져도, 어떤 불의가 눈앞에서 벌어지고 있어도, 강자가 부당하게 약자를 짓밟고 있어도, 모른척하고, 고개 숙이며, 외면했습니다.

    눈감고, 귀를 막고 비굴한 삶을 사는 사람만이 목숨이나 부지하면서 밥이나 먹고살 수 있었던 우리 6백 년의 역사. … (중략) … 이제 우리는 이 역사를 청산해야 합니다. 부패하고 불의한 권력에 당당하게 맞설 때야만 비로소 우리 젊은 아이들에게 떳떳하게 정의를 얘기할 수 있고, 떳떳하게 불의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새로운 역사를 만들 수 있습니다!”

    이는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이 2002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 수락 연설의 일부로 정의와 상식이 살아 숨 쉬는 평등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일성에 다름 아니었다. 그만큼 조선 이후 한국 사회는 부정부패와 불의, 부조리, 모순된 이념이 지배하고 있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과연 지금은 어떠한가? 정의가 살아 있고, 부조리가 없으며, 부정부패가 없는 평등한 사회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2014년 한국 사회를 관통한 단어는 ‘슬픔’과 ‘분노’였다. 이는 수많은 어린생명을 앗아갔던 세월호 참사를 비롯해 무기력하고 무능한 정치권의 소통 부재와 과거 회귀, 재벌과 있는 자들의 모럴헤저드(갑질), 비상식과 모순, 부조리가 만들어낸 결과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당연히 국민은 분노했고, 슬퍼했으며, 절망에 빠졌다.





    부정부패가 만연하고, 모순과 불평등이 판치는 부조리하고 불의한 시대

    실패할 줄 알면서도 목숨을 걸고 싸울 수밖에 없었던 이들의 슬픈 서사시




    한 시대가 부패하고 불의할수록 개혁과 변혁에 대한 의지가 높아지게 마련이다. 또 그런 힘든 세상을 살아가는 사람들은 누구나 변혁에의 꿈을 다질 수밖에 없다. 설령, 그 자신이 주인공은 되지 못하더라도 누군가가 앞장서서 변혁의 기치를 올리기를 바란다.

    조선 5백 년 역사 속에서도 새로운 기치를 내걸고 세상을 개혁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무수히 많았다. 그 중에는 백 년, 아니 천 년에 한 명 나올까 말까 하는 천재도 있었고, 도탄에 빠진 백성들과 나라를 구하기 위해 제 몸을 던진 사람도 있었다.

    조선 건국을 주도했던 비운의 혁명가 정도전, 개혁주의로 이상 정치를 추구했던 조선 선비의 사표 조광조, 대동사상을 꿈꾸었던 조선 최초의 공화주의자 정여립, 역모사건을 꾀하다가 죽임을 당한 조선의 아웃사이더 허균, 조선의 자주와 근대화를 꿈꿨던 갑신정변의 주인공 김옥균, 선한 사람들이 승리하는 새로운 세상을 열고자 했던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 김개남 등이 바로 그들이다.

    《세상을 바로 잡으려 한다》는 불평등하고, 불의하며, 부조리한 사회에 맞서 실패할 줄 알면서도 목숨을 걸고 싸울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안타깝고 슬픈 삶을 오롯이 담고 있다.

    그들은 상식이 통하며, 부정부패와 부조리가 없는 정의로운 세상을 꿈꿨다. 이에 앞장서서 몸을 던졌다. 하지만 국왕을 위시한 유교 국가 조선에서 국왕의 권위에 도전하고, 개혁을 말하는 것은 곧 목숨을 내놓는 것과도 같았다. 그 결과 역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하고 있긴 하지만 패배자 혹은 낙오자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과연 역사는 진일보하는가? 라는 물음을 던지는 책

    비상식과 모순, 부조리가 만들어낸 위기의 한국 사회

    국민은 분노했고, 슬퍼했으며, 절망에 빠졌다




    이 책을 읽다 보면 어느 순간 분노와 함께 슬픈 자각이 밀려들 것이다. 조선이라는 나라와 대한민국의 현실이 조금도 다르지 않다는 자각, 나아가 세월이 격동 치며 흘러갔지만, 이 땅의 민초들을 옥죄는 부조리하고 불의한 문제들은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에서 오는 깨달음이 바로 그것이다.



    그들은 말한다.

    “이 어지러운 세상, 어찌 가만히 앉아 있을 수 있으랴. 세상의 부조리와 불의, 모순, 불평등을 변화시키는 데 주저하지 말라.”

    역사는 늘 승자의 입장에서만 기록되고 보존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제아무리 진실된 영웅이었다고 하더라도 싸움에서 패하는 순간, 그는 혹세무민하고 나라를 훔치려 했다는 이유로 역적 취급을 받아야 했다. 그렇다면, 과연 지금은 어떠한가? 정의가 살아 있고, 부조리가 없으며, 부정부패가 없는 모두가 평등한 사회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가? 만일 그렇지 않다면, 역사는 진일보하는가? 라는 물음에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다.




  • 신정일 (辛正一)



    문화사학자이자 이 땅 구석구석을 걷는 작가, 도보여행가.

    1980년대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설립,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을 재조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사업을 펼쳤으며,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 10대 강 도보 답사를 기획하여 금강·한강·낙동강·섬진강·영산강을 비롯해 압록강까지 답사를 마쳤고, 옛길인 영남대로와 삼남대로·관동대로를 도보로 답사했으며, 400여 개의 산을 올랐다.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바닷가 길을 걸은 후 문화관광부에 최장거리 도보 답사 길을 제안, 〈해파랑길〉이라는 이름의 국가 정책으로 개발되고 있다. 2010년 9월 관광의 날을 맞아 다양한 우리 땅 걷기 코스 발굴을 통해 도보 여행의 대중화와 국내 관광 활성화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아 대통령 표창을 받았다.

    현재 사단법인 〈우리 땅 걷기〉의 이사장으로 있으며, 소외된 지역문화 연구와 함께 국내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 및 숨은 옛길 복원 등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조선을 뒤흔든 최대의 역모사건》, 《한국사의 천재들》, 《대한민국에서 살기 좋은 곳 33》, 《섬진강 따라 걷기》, 《풍류》, 《대동여지도로 사라진 옛 고을을 가다(3권)》, 《낙동강》, 《한강 따라 짚어가는 우리 역사》, 《영남대로》, 《삼남대로》, 《관동대로》, 《새로 쓰는 택리지(10권)》 등 50여 권이 있다.


  • 프롤로그 - 불의하고 부조리한 세상, 앞장서서 몸을 던지다



    새로운 시대를 설계한 난세의 영웅 _ 정도전

    “이 나라의 진정한 주인은 백성이다”

    정도전 깊이 읽기 _ 살아서 6년, 죽어서 6백 년 조선을 다스리다

    정도전 연보



    시대의 불의와 모순을 타파하고자 했던 개혁의 아이콘 _ 조광조

    “세상이 바뀌려면 선비가 나서야 한다”

    조광조 깊이 읽기 _ 조선 선비의 모범이 되다

    조광조 연보



    남성 중심 사회 조선을 조롱했던 신여성 _ 황진이

    “나로 인해 천하의 남자들이 자애하지 못하였소”

    황진이 깊이 읽기 _ 고루한 남성 사회에서 자신의 목소리를 내다

    황진이 연보



    대동세상을 꿈꾼 조선 최초의 공화주의자 _ 정여립

    “천하는 공물인데 어찌 주인이 있겠소”

    정여립 깊이 읽기 _ 조선 최대의 정치 미스터리, 기축옥사

    정여립 연보



    자유와 평등을 꿈꾼 조선의 아웃사이더 _ 허균

    “세상사람 모두가 잠들어도 홀로 깨어 있으리”

    허균 깊이 읽기 _ 차별 없는 세상을 꿈꾸었던 자유주의자

    허균 연보



    당쟁의 상처를 딛고 팔도를 누빈 평등주의자 _ 이중환

    “사대부가 따로 있는 것이 아니오”

    이중환 깊이 읽기 _ 긴 방랑생활, 최고의 인문지리서를 완성하다

    이중환 연보



    다 함께 잘 사는 나라를 꿈꾼 실용주의자 _ 박지원

    “선비 노릇 제대로 하라”

    박지원 깊이 읽기 _ 압록에서 열하까지, 60일 간의 뜨거운 기록

    박지원 연보



    백성이 주인이 되는 사회를 꿈꾼 조선 최고의 개혁사상가 _ 정약용

    “지금 당장 개혁하지 않으면 나라가 반드시 망하고 말 것이다”

    정약용 깊이 읽기 _ 유배지에서 피어난 애민의 마음

    정약용 연보



    민족 종교 동학 창시자 _ 최제우

    “사람이 하늘이니, 사람 섬기기를 하늘같이 하라”

    최제우 깊이 읽기 _ 하늘과 백성과 통하다

    최제우 연보



    새로운 세상을 열려고 했던 동학 혁명가 _ 김개남

    “선한 사람이 승리하는 세상을 만드리라”

    김개남 깊이 읽기 _ 봉건사회의 심장을 꿰뚫다

    김개남 연보



    조선의 개화를 꿈꾸었던 비운의 혁명가 _ 김옥균

    “조선의 자주와 독립을 위하여”

    김옥균 깊이 읽기 _ 조선 유일의 정치 혁명, 갑신정변

    김옥균 연보